인사가 만사, 만사가 무너졌던 홍준표 대구시정
인사가 만사, 만사가 무너졌던 홍준표 대구시정
감사원과 행안부의 감사, 언론의 연이은 폭로는 민선 8기 대구시정이 한 정치인의 사유물이 되어버렸음을 고발한다. 승진 대상자를 미리 내정해 놓고 인사위원회를 요식행위로 전락시킨 탓에 1,280여 명의 후보가 심사도 받지 못했다는 사실만으로도 대구시 공직사회의 몰염치가 드러난다.
승진 자격조차 없는 71명에게 직급을 뛰어넘는 직무대리를 부여하는 편법까지 동원했으니, 인사 제도는 이미 공정과 합리를 잃었다. 이번 행정안전부의 감사 결과는 이 폐단의 배후를 더 적나라하게 보여 준다. 국·과장급 간부 7명이 대구정책연구원과 대구교통공사 등 외부 기관으로 장기간 파견되는 과정에서 승인 절차를 무시했고, 결원보충 승인은 뒤늦게 받는 등 ‘주먹구구식’ 인사운용이 반복됐다. 일각에서는 특정 간부를 외부로 보내는 파견이 ‘귀양’이었다는 말까지 나왔다. 공직을 사적인 적대와 보상, 추방의 도구로 삼은 것이다.
문화예술 영역에서도 전횡은 계속됐다.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원장은 특정 인물을 승진시키기 위해 내규를 변경하고, 공개채용에서 원하는 사람이 떨어지자 ‘적격자 없음’으로 처리하라고 지시한 정황이 드러났다. 이 때문에 원장 직속 임시조직인 ‘정책 TF팀’이 해체됐고, 시민들은 문화 행정의 공정성에 대한 회의를 품게 됐다.
여기에 하나 더, 홍준표 전 시장이 퇴임 직전에 벌인 ‘알박기’ 채용 의혹은 노골적이다. 홍 전 시장은 대선 출마 의사를 공식화하고 두 달 뒤, 뉴미디어 직종의 5년 임기 5급 팀장직을 뽑았다. 선발된 이는 그가 3년 전 시장에 취임하며 데려온 측근이었다. 그는 기자 간담회에서 “000은 내가 앞으로 5년간 신분 보장이 가능하도록 만들어 놨어요. 내가 나가면서 잘려나가면 안 되니까”라며 5년짜리 임용을 개인적으로 보장했다고 자랑했다. 심지어 직급까지 상의했다며 “4급보다는 5급이 낫다”고 말했으니, 채용 과정 전체가 공개 채용의 탈을 쓴 사전 약속이었음이 그의 육성으로 확인된다. 그는 “고생한 사람들에게 부채를 갚았다”고 했지만, 자신의 부채를 시민 세금으로 갚겠다는 발상이 어디서 비롯된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이 사건은 시민단체의 고발로 권익위원회를 거쳐 경찰 수사로 넘어간 상태이다. 그야말로 위인설관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홍 전 시장과 그 측근들은 인사 시스템을 마음대로 주무르며 공직사회를 완전히 망가뜨렸다. 감사원이 지적한 예산 낭비와 무분별한 수의계약, 외부 강의·기고를 몰래 하고 사례금을 받은 사례까지 더하면, 대구시는 한마디로 ‘정의와 상식’이라는 공공의 밑돌이 빠진 상태였다. 민주주의에서 공직은 국민에게 봉사하기 위한 자리이지 정치적 채무를 갚기 위한 전리품이 아니다. 홍준표 전 시장은 민선 8기 대구시정의 수장으로서 이런 위법·부당한 인사와 조직운영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감사 결과에 따라 수사 기관이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하고, 그 과정에서 전직 시장이라고 예외를 둬서는 안 된다.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은 현 시정 책임자인 권한대행과 행정안전부에 요구한다. 첫째, 감사원과 행안부가 지적한 모든 부적절 사례에 대한 책임자를 공개하고 엄정한 징계를 내려야 한다. 둘째, 승진 임용과 직무대리, 외부 파견 제도를 전면 개편하여 능력과 성과 중심의 투명한 인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대구문화예술진흥원의 인사 전횡 의혹을 철저히 조사하고, 연루된 원장과 관계자들을 엄중히 문책해야 한다. 넷째, 홍준표 전 시장의 알박기 채용 의혹에 대해 철저한 수사와 법적 판단을 거쳐 시민 앞에 진실을 밝혀야 한다. 인사가 무너지면 만사가 무너진다. 민선 8기 홍준표 대구시정은 시민의 신뢰를 완전히 잃어버린 과거였다.
2025. 7. 30.
더불어민주당 대구광역시당